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사업자 등록 후 건강보험료 예상 가이드

by vivi0798 2025. 3. 21.

사업자 등록하면 건강보험료 얼마나 나올까? (2025년 기준)

부업이나 프리랜서 활동을 시작하면서 사업자 등록을 고민하시는 분들 중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. 바로 “건강보험료 얼마나 나오나요?”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 2025년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, 소득별 예상 금액, 자주 묻는 질문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
건강보험료는 어떻게 부과되나요?

사업자는 지역가입자로 분류되며, 보험료는 다음 두 기준에 따라 계산됩니다.

  • ① 소득 점수: 종합소득 (사업소득, 이자소득, 임대소득 등)
  • ② 재산 점수: 부동산, 자동차, 금융자산 등

이 점수에 2025년 보험료 부과 기준 금액을 곱해 건강보험료가 산출됩니다.

사업자 등록만으로 보험료가 바로 나오진 않습니다

사업자 등록만 했다고 해서 바로 건강보험료가 부과되는 건 아닙니다. 실제 소득이 발생하고, 종합소득세 신고를 한 후에 국세청 자료를 바탕으로 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료를 부과합니다.

2025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기준

  • 보험료 산정 시점: 2024년 귀속 종합소득 → 2025년 11월부터 반영
  • 보험료 점수당 금액: 229.6원 (2025년 기준)
  • 최저 보험료: 약 10,140원 (2025년 최저보험료 기준)

예상 건강보험료 계산 예시

종합소득 (연간)월 건강보험료 (예상)

0원 (적자 또는 소득 없음) 약 10,140원 (최저)
1,000만 원 약 35,000 ~ 50,000원
3,000만 원 약 80,000 ~ 120,000원
5,000만 원 약 150,000 ~ 180,000원

※ 재산, 자동차 소유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

직장 다니면서 사업자 등록한 경우

직장인이면서 부업용으로 사업자 등록을 한 경우에는 기본적으로 직장가입자로 건강보험 납부합니다. 단, 사업소득이 연간 3,400만 원 이상일 경우, 지역가입자로 추가 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 (직장가입 보험료와 지역가입 보험료의 차액만큼 추가)

소득 없을 땐 최저 보험료만 납부

사업자 등록을 했지만 실제 소득이 없거나 적자인 경우에는 최저 보험료만 부과됩니다. 이 경우 2025년 기준 약 10,140원이 부과됩니다.

FAQ: 자주 묻는 질문

Q. 부업으로 월 100만 원 벌면 얼마나 내요?

A. 연간 약 1,200만 원 소득이면, 월 보험료는 약 4~6만 원 사이입니다. 단, 재산이나 자동차가 있다면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.

Q. 무조건 신고하면 보험료 올라가나요?

A. 아닙니다. 일정 소득 이상일 경우에만 반영되며, 신고 자체가 보험료 인상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.

Q. 소득 적은데 사업자 내면 손해 아닌가요?

A. 건강보험료는 일부 늘 수 있지만, 세금 절감(경비처리)이나 신용, 정산 편의성 측면에서 장점도 많습니다.

마무리

사업자 등록 후 건강보험료는 ‘언제 얼마나 벌었느냐’에 따라 달라집니다. 무조건 큰 부담이 되는 건 아니며, 오히려 실제 소득이 없을 경우 최저 보험료만 납부하므로 과도한 걱정은 불필요합니다. 본인의 소득 수준과 활동 목적에 따라, 사업자 등록을 전략적으로 활용해보세요.

 

 

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.